트럼프 영국 방문 – 민간 핵에너지 협약(Technology Prosperity Deal)

2025년 9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영국 정부는 Technology Prosperity Deal (TPD)을 체결하여 인공지능, 양자기술, 민간 핵에너지, 핵융합 등 전략 분야에 대규모 협력·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조항 내용
협약 형태 MOU(양해각서)로, 실질 협력 조건 및 의향 선언. 조약보다는 유연함.
협력 분야 인공지능(AI), 양자(Quantum), 민간 핵에너지(Nuclear), 핵융합(Fusion)
원자력 규제 미국 NRC와 영국 규제 기관이 설계 승인 2년, 부지 허가 1년 이내 처리 목표.
에너지 안보 영국은 2028년까지 러시아산 핵연료 의존 완전 종료.
투자 프로젝트 하트풀(Hartlepool)에 AMR 12기 설치(150만 가구 전력 공급), 2,500개 일자리 창출.
코탐(Cottam) 부지에 SMR 기반 데이터센터 건설(약 110억 파운드 규모).
평가 메커니즘 12개월 내 1차 평가, 이후 매년 진척 점검 및 방향 조정.

한국에의 시사점

분야 긍정적 가능성 주의/리스크 한국 전략
원자력 경쟁력 SMR/AMR 수출 기회 확대, 국제 기술 협력 분위기 강화. 미·영 표준이 국제 기준화될 경우 한국이 소외될 가능성. 국제 규제·표준 모니터링, 국내 인증제도 개선.
수출 경쟁 설계·인증 표준화로 비용 절감, 수출 경쟁력 강화. 미국 수출통제 영향 가능성. 삼자 협력(한-미-영) 모색, 인증 선제 대응.
안보·공급망 연료 공급망 안정, 신뢰도 높은 파트너 국가로 입지 강화. 연료 및 부품 비용 상승, 규제 강화. 공급망 다변화, 국내 자급 역량 확보.
기술·표준 허가·인증 절차 개선 벤치마크 가능. 표준·안전 요건 충족 부담 증가. R&D 강화, 국제 공동연구 참여.

종합 제안 전략

  • 국제 규제 및 표준 변화 상시 모니터링
  • SMR·AMR·핵융합·AI 접목 등 첨단 원전 R&D 강화
  • 수출 시 규제·안전 요건 충족 선제 대응
  • 핵연료 및 부품 공급망 다변화 추진
  • 안전·비확산·환경 기준에서 국제 선도 입지 확보
⚠️ 주의사항: 본 문서는 공개 보도 및 공식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정리이며, 실제 협약 이행 과정에서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분석은 참고용이며 법적·정책적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참고로 오류데이타도 있을수 있음

+ Recent posts